온가족의 건강을 위한 '과천예일의원'입니다.
홈으로_ 커뮤니티_ 건강칼럼
최강희의 선한 영향력...'조혈모세포 이식'이란?
배우 최강희(47)가 헌혈하는 일상을 공개하면서 과거 백혈병에 걸린 환아에게 조혈모세포를 기증했다는 사실을 밝혔다. 지난 9일 mbc 예능 '전지적 참견 시점'에 출연한 최강희는 "(예전에) 헌혈을 하다가 조혈모세포 기증에 대한 정보를 발견해서 신청서를 썼다"라고 설명했다.
지금까지 무려 46회나 헌혈을 했다는 최강희는 2007년도에 골수 기증 등록을 했다면서 "(골수가) 평생 안 맞는 사람도 있다는 사람도 있다고 했다. 나랑 많은 정보가 일치해야 하니까. (기증 후) 언제 오나 기다리고 있었는데 몇 년 후 일치자가 나타났다"라고 말했다.
이어 "형제가 둘 다 백혈병인데, 동생은 아빠와 일치가 됐지만 형은 안됐다. 마침 제 것이 상태가 좋아서, 병원에서 (형에게) 너무 좋은 기증이 되었다고 했다"라고 설명했다.
이를 듣던 스타 마술사 최현우는 "당시 최강희의 기사를 보고 저도 조혈모세포 기증을 신청했다. 나도 할 수 있겠구나 싶었다. 이런 분이 많은 사람들에게 선한 영향력을 주는 것 같다"라며 최강희의 선행에 고마움을 표했다.
조혈모세포 이식, 여러 종류의 혈액질환 치료에 필수
조혈모세포란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과 같이 우리 몸에 필요한 혈액 세포를 만들어내는 능력을 가진 조상세포로 정상인의 혈액에 약 1% 정도 존재하며 골수, 말초혈액, 제대혈에서 얻을 수 있다.
조혈모세포 이식은 백혈병, 중증 재생 불량 빈혈, 림프종 및 다발성 골수증 등 혈액질환뿐 아니라 자가면역질환 등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필요한 치료법 중 하나로, 병든 조혈모세포를 가진 환자에게 건강한 조혈모세포를 투여해 완치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예전에는 골수에서 채취한 조혈모세포만을 이용해 이식했기 때문에 골수 이식이라고 불렸으나, 현재는 말초 혈액에서도 채취가 가능하고 제대혈에서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조혈모세포 이식이라 부른다.
조혈모세포 이식의 분류와 기증자 검색
조혈모세포 이식은 환자 자신의 조혈모세포를 이용하는 자가 조혈모세포이식과, 형제 자매의 골수를 이용하는 혈연 간 동종 조혈모세포이식, 조직적합성 검사가 일치하는 타인의 골수를 이용하는 비혈연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으로 크게 나눈다.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이 필요한 환자에게는 조직 적합항원(human leukocyte antigen, hla)이 일치하는 형제의 조혈모세포를 이용하는데, 형제와 일치하지 않거나 일치하더라도 기증이 여의치 않다면 타인의 조혈모세포를 제공받기 위해 조혈모세포 은행에 기증자 검색을 의뢰한다.
조혈모세포 이식 가능자의 조건과 기증 절차는
기증자와 환자의 안전을 위해 기증이 가능한 나이는 만 18세 이상, 55세 미만까지다. hiv 감염 또는 에이즈(aids), 입원이 필요한 정도의 중증 천식, 투약이 필요한 당뇨병, 간 질환, 심장 발작, 성병, 빈혈, 고혈압, 저혈압, 저체중 등의 증상이 있다면 기증이 어려울 수 있다.
조혈모세포 기증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기증 희망자는 등록 기관에서 상담을 한 후, 조직적합성(hla) 검사를 위해 혈액을 채취(3~5cc) 한다. 이후 조직적합성 항원형이 일치하는 환자가 나타나면 최종 기증 의사를 확인 후, 기증 전 건강 검진을 시행한다. 골수, 말초혈 기증 시 입원 기간은 3~4일 정도 걸린다.
기증 희망자는 대한적십자사, 한마음한몸운동본부, 생명나눔실천본부, 한국조혈모세포은행협회, 가톨릭조혈모세포은행에서 모집하고 있다.
헌혈 과정과 큰 차이 없어..."2~3주 이내 조혈모세포 완전 회복"
그렇다면 조혈모세포 기증 과정에서 부작용은 없는 것일까. 일반적으로 큰 문제는 없지만 기증자의 개인적인 건강 상태에 따라 회복 기간이 다를 수 있으므로, 건강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좋다.
하이닥 내과 전문의 박성빈 원장은 "조혈모세포 기증을 할 경우 말초 혈액으로 하기 때문에 헌혈 과정과 큰 차이는 없지만, 혈액을 채취하기 전에 체내에 조혈모세포 숫자를 늘리는 주사를 맞아야 한다. 이에 대해 부작용은 사람마다 달라서 아무런 부작용이 없기도 하고, 염증 반응처럼 발열 등이 있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해열 진통제로 해결되는 수준이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렇게 해서 빼낸 혈액은 2~3주 이내에 완전히 회복되고 기증 후 일상생활을 하는데도 문제가 없다"라고 덧붙였다.
도움말 = 하이닥 내과 상담의사 박성빈 원장